설날은 음력으로 새해의 첫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설날은 묵은 해를 정리하여 떨쳐버리고 새로운 계획과 다짐으로 새 출발을 하는 첫날이다. 이 ‘설’은 순수 우리말로써 그 말의 뜻에 대한 해석은 구구절절 하다.
그 중 하나가 ‘서럽다’는 ‘설’이다. 선조 때 학자 이수광이 ‘여지승람(輿地勝覽)’이란 문헌에 설날이 ‘달도일’로 표기되었는데, ‘달’은 슬프고 애달파한다는 뜻이요, ‘도’는 칼로 마음을 자르듯이 마음이 아프고 근심에 차 있다는 뜻이다. ‘서러워서 설 추워서 추석’이라는 속담도 있듯이 추위와 가난 속에서 맞는 명절이라서 서러운지, 차례(茶禮)를 지내면서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간절하여 그렇게 서러웠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음은 ‘사리다’[愼, 삼가다.]의 ‘살’에서 비롯했다 설(說)이다. 각종 세시기(歲時記)들이 설을 신일(愼日)이라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한 것도 몸과 마음을 바짝 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의 첫 시작을 경거망동하지 말라는 까닭이다. 옛날 문헌들에 정초에 처음 드는 용(辰)띠날, 말(牛)띠날, 쥐(子)띠날, 돼지(亥)띠날, 그리고 2월 초하룻날을 신일(愼日)로 적혀 있음을 근거로 하여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이 풀이한 기원설이다.
새해부터 처음 맞이하는 십이일을 상십이지일(上十二支日)이라 하여 여러 가지를 삼가며 조심할 것을 가르친 풍속이 있는 걸 볼 때 매우 타당한 설(說)이다.중국의 어원사전인 ‘청문엽서(淸文葉書)’에 보면 연세를 나타내는 ‘살’· ‘잘’은 세(世)· 대(代)· 세(歲)· 수(壽)를 뜻하고, 또 대나무나 풀이나 뼈마디를 뜻하는 절(節)의 어원이라고도 했다. ‘몇 살 몇 살’ 하는 ‘살’이 그 연세의 매듭(節)을 짓는 정초를 나타내는‘설’로 전화됐음직하다.
또한 설에 대한 가장 설득력있는 견해는 ‘설다. 낯설다’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왔다는 설(說)이다. 처음 가보는 곳, 처음 만나는 사람은 낯선 곳이며 낯선 사람이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문화적 시간의 충격이 강해서 ‘설다’의 의미로, 낯 ‘설은 날’로 생각되었고, ‘설은 날’이 ‘설날’로 정착되었다. 곧 묵은해에서부터 분리되어 새해로 통합되어 가는 전이과정에 있는 다소 익숙치 못하고 낯 설은 단계라는 의미이다.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